월간 니혼바시 2021년 2월호 ‘에도의 화학’
우다가와 용암·가와모토 행민의 공적을 소개!

「월간 니혼바시」를 좋아하는 벚꽃이나 요이 지금까지의 특집 기사를 읽고 있었을 때에 눈에 띈 기사는 「에도의 화학」이었습니다.
에도시대 막부 말기에 니혼바시에 인연이 있는 우다가와 용암과 가와모토 행민은 일본의 화학의 기초를 구축해, 그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었습니다.
이 두 사람이 있었던 덕분에 메이지에서의 화학면에서의 문명개화가 원활하게 되었다는 표현은 과언이 아닙니다.
화학은 바보같이 인간이 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데 사용되도록 연구·발전해 왔을 것이었지만, 최근에는 화학무기로 사용되어 우리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존재가 되고 있습니다.
우다가와 유안·가와모토 유키민과 같은 에도 시대의 초심으로 되돌아와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사용법을 할 수 있는 화학의 발전을 바라지 않을 수 없습니다.
『샤밀』라는 일반적인 명칭이 그 후 『화학』이라는 말은 행민이 사용했다!
우리가 현대 사용하고 있는 「화학」이라는 말을 일본에서 처음 사용한 것이 행민이었습니다.
1860년 《만유화학》이라는 화학서 출판을 신청했다.
국가기밀이라고 판단되어 검열에 각하되어 내용을 알 수 없습니다.
『화학신서』『화학통』『화학독본』등의 번역을 하고, 행민은 통일해서 화학의 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1854년에 일본에 온 선교사가 고안했다는 설이 있어 중국에서 정착한 후 일본에 들어왔습니다.
행민은 중국에서 한서를 통해 '화학'이라는 말을 만난 것으로 생각됩니다.
당시 행민은 서양 문명을 도입하는 창구 기관으로서 설치된 번조소의 교수직에 있어, 새롭게 구입된 한어의 검문도 실시하고 있었습니다.
막부 말기에 개성소【번소조소의 후신】에서 행민의 「화학신서」가 화학 교육의 교과서에 이용되었습니다.
메이지 학제의 교육 제도로 「화학」의 화학명이 채용되었습니다.
그로 인해 서서히 『화학』이 정착되어 갔습니다.
니혼바시 태생 화학의 조상 우다가와 용암의 공적

1798 1798년 우다가와 용암은 오가키 번의(에도즈메) 장쩌양키의 장남으로서 니혼바시 고후쿠초(야에스 1가·니혼바시 1~2초메)에 태어났습니다.용암의 아버지가 배운 의학의 사쓰야마 번의 우다가와 겐진의 양자가 된 것은 14세 때였습니다.
1814 1814년 용암 17살 때 장군 배현하러 에도에 온 데지마 네덜란드 상관장 헨드릭 두프 일행에게 양부와 면담한 기회에 네덜란드어를 배우면서 난학의 길을 걷기 시작했습니다.
서양서를 번역하고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가시화하는 것을 연구하면서 화학을 전한다!
탁월한 어학력을 익혀 많은 서양서를 번역이나 저술을 시작했습니다.
박물학 - 어릴 적부터 식물·약학에 흥미가 있었습니다.
〇19세에 커피의 산지와 효용 「거비을설 코츠히이세츠」를 말했습니다.
〇1819 1819년 영국산 엡손염(황산마그네슘)・중국 응수석의 하제 효용에 관한 실증적 내용을 기록한 『참고리 삿포』저
〇1822 1822년 《보타니카게》 간행
〇1833 1833년 《식학계원》 간행
일본에서 최초의 본격적인 식물학서로 식물의 구조, 식물체의 성분을 과학적으로 취급하고 있습니다.
“변물은 오늘의 박물학, 궁리는 물리학, 사밀은 화학에 해당한다.자연을 연구한다는 것은 우선 관찰하고 그 형태와 성질을 밝히는 박물학에서 시작하여 식물의 성장과 노성 연구를 하는 물리학, 최후에 만물을 구성하는 원소를 연구하는 물리학, 마지막에 만물을 구성하는 원소를 연구하는 것이 화학이다」라고 용암은 말합니다.
〇1837 1837년 《사밀개종》 간행
메이지에 들어갈 때까지 최고의 화학 교과서로 사용되었습니다.근대 과학의 아버지라고 불린 라보아제의 학설을 번역하여, 용암의 해설도 더해졌습니다.
〇용암이 만들어낸 화학용어
‘산소’ ‘탄소’ ‘요오드’ ‘아연’ ‘염소’ 원소 이름
「황산나트륨」 「황화수소」 「질산 칼륨」 「탄산 가스」 「암모니아」
알코올
「용해」 「포화」 「결정」화학반응을 나타내는 용어를 고안했습니다.
시볼트와의 교류
1823 1823년 독일의 시볼트는 네덜란드 상관 의사로 데지마에 왔습니다.
〇용암은 우레시로 자작의 식물 표본이나 사생화를 시볼트에 보내고 있습니다.
〇1826 1826년 네덜란드 상관장 장군 배현 수행 때 에도 나가사키야에서 대면합니다.헤어질 때, 시볼트에서는 「우리 호학의 친구에게」라고의 헌사를 적은 박물학서나 식물학서, 현미경 등, 용암에서는 식물의 표본을 다수 선물했습니다.시볼트는 일기에 「우다가와 용암으로부터 다수의 건조식물을 주어 표본은 특히 상질이었다」라고 적고 있습니다.
〇시볼트 『일본식물지』 간행에 용암과의 교류가 일본의 식물이 널리 유럽에서 소개된 것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16년간 전국 40개소 온천 효능조사연구
양부 겐진으로부터 온천의 수질 조사를 명령받았습니다.
아타미·사쓰마의 이오지마 등의 온천·냉천의 물을 받고, 성질을 과학적으로 분석했습니다.
〇우선 색이나 냄새를 관찰하고, 스스로 마시고 맛을 확인하고, 뜬 저울을 사용해 비중을 측정, 약품이나 열을 더해 반응을 극명하게 기록했다.
〇그 성과를 「제쿠니 온천 시설」과 「온천 잡기」에 정리했습니다.
〇분석 항목은 색·비중·함유 성분이 기재
〇산센·염천·유황천·철천의 4종류로 분류, 온천의 적응에 대해서도 명기되었습니다.
그때까지 전설이었던 온천의 효능을 처음으로 과학적으로 검증한 업적은 높이 평가되었습니다.
니혼바시 거주 란학자 가와모토 유키민이 화학을 학문적 지위를 확고히 하는 것에!

1810 1810년 섭진국 미타번(효고현 미타시) 번의의 집에서 태어났습니다.1835 1835년 에도에서 번의가 되었다.
알면 시험하지 않을 수 없는 성격의 행민은,
〇일본 최초의 성냥을 고안하고 있습니다.1948 1848년 휴가에 둔 것만으로도 발화하는 위험한 인 황매치였습니다.
〇1952 1851년 일본에서 첫 사진 촬영 은판 광화에 성공.
사쓰마 번 에도즈메 번사 향학학원의 강의에서 네덜란드인의 반 델 벨의 「이학 원시」에 근거해 행민이 말한 것을 문인이 필기한 「원서기술」1854에 직사영경 거울, 다게레오타이프 사진술의 해설이 담겨 있습니다.
〇맥주 제조
문헌 기록이 없고, 전설에서는 페리 내항 시에 맥주 제조 방법을 얻어, 1853년 야초보리(지바초)의 자택에서 노를 구축해 제조했다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독일의 농학자 슈테크하르트의 「화학의 학교」의 네덜란드어 번역을 번역한 「화학신서」에 기록되어 있던 맥주 제조 이론의 기본을 무수한 술을 좋아하는 행민이 시험에 양조하려고 생각한 것도 당연한 일일지도 모릅니다.
개성소(훗날 도쿄 대학)에서 후배 지도에 힘을 쏟는다.
1865년에 개성소의 교수 필두가 되어, 나가사키 정덕관 부속 분석 궁리소의 이화학 전문 교사 네덜란드인 하라마타를 자교에 부르기로 결정했습니다만, 막부 기능 부전 때문에 발령이 나오지 않고 개성소에서의 강의는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행민은 독학으로 외국어를 습득·실험을 반복하면서 지식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가는 지금까지의 방식을 고집하지 않고 후진의 육성에 힘을 아끼지 않았다.
행민의 일본과학사의 공헌은 연구대상으로서의 화학뿐만 아니라 학문으로서의 화학을 성립시켰습니다.
이제 우리는 화학의 공통 인식 개념을 가질 수 있습니다.
무엇이든 흥미를 가진 덕분에 화학 이외의 언어 고안이나 구미의 증기선 등의 기술을 일본에 소개
【말을 고안】
「시간」 「오전」 「단백」 「분자」 「대기」 「공기」 「수증기」
「경금속」 「포도당」 「요소」 「화학변화」 「기상」
【구미 기술】소개
「증기선」 「비행선」 「정당」 「제염」 「전신」 「광산 개삭」 「병기」
1774 1856년 『해체신서』가 간행되어 널리 난학이 주지되어 간 후에 이어지는 인재로서 24년 후생을 받은 우다가와 용암과 36년 후에 태어난 가와모토 행민이 난학뿐만 아니라 일본의 화학 발전을 추진한 것입니다.
(월간 니혼바시의 기사 게재의 승낙을 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