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혼바시 인형 마을에 들르면 꼭 방문해 주었으면 하는 찻집이 있습니다.그것이, 아마슈 요코초에서 2개 북쪽 거리에 있는 「커피 대승헌」입니다.커피숍과는 비슷하지 않은 가게 이름.대승헌이라고 하면, 츠키 국수의 가게가 유명해진 요즘입니다만, 인형초에는 전혀 다른 계통이면서, 그보다도~와 역사가 있는 「중화요리 대승헌」의 총본산이 있었습니다.
![k 간판.jpg](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2018/12/13/k%E7%9C%8B%E6%9D%BF.jpg)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이전부터 회사 동료와 점심 식사 후에 자주 들르는 「커피 대승헌」씨.이번에, 다시 이야기를 묻자고 생각한 이유는, 인터넷상에 너무나 불확실한 정보가 넘치고 있어, 가게의 남편도 당황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현재의 점주, 와타나베 유타로씨(대승헌 5대째)와, 그 엄마의 치에코씨(4대째)에게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점내 우측 벽에는 「대첩헌」의 옥호를 기록한 책이 걸려 있습니다.무려, 그 러일 전쟁의 영웅 노기 대장(노기 키노리)이 쓰여진 것이라고 하기 때문에 놀랍습니다.책의 왼쪽에는 초대 점주 와타나베 씨에게 선물임을 나타내는 「위도베 씨어」, 그리고 확실히 노기노리의 사인이 있습니다.'대첩헌'이라는 점명은 러일 전쟁에 대승한 것을 기념하여 흔한 이름이라는 것으로 명명된 것 같습니다.이키사츠는 확실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만, 노기 대장은 자주 야나기바시 근처에 놀러 온 것 같고, 그 때 뭔가 인연으로 알게 된 것은 아닐까...와의 이야기였습니다.
![t대첩켄야호.jpg](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2018/12/13/t%E5%A4%A7%E5%8B%9D%E8%BB%92%E5%B1%8B%E5%8F%B7.jpg)
▲야호(일본어: 노기노리)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원래 「시나고요리 대승헌」은, 대승헌의 창업자가 되는 와타나베 반노스케씨(난토 1858년생!)하지만, 포장마차에서 장사하고 있던 중국인·린텐켄(린·닌켄)씨와 만난 것으로부터 시작됩니다.하야시 씨는 1905년 20세 때 광둥성에서 일본을 방문한 청년으로 포장마차에서 장사를 했다고 합니다.당시, 기름 도매상을 하고 있던 반노스케씨는, 장사인의 직감이 작용했는지, 하야시씨를 요리장으로 고용해 시나 요리점을 열기로 결정했습니다.그러나 반노스케 씨는 개업의 중간쯤에서 사망했다.입양에 들어가 있던 마츠조씨가 이름을 2대째 반노스케로 바꾸고, 초대의 유지를 계승해, 1913년(1913년), 마침내 나미하나초(현·인형초)에 “시나고요리 대승헌”을 오픈시킨 것입니다.
![IMG_2894.JPG](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2018/12/13/IMG_2894.JPG)
▲왼쪽:1986년 본점, 중:1933년 4월 아사쿠사 지점, 오른쪽:1928년 당시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다이쇼에서 쇼와에 걸쳐, 이 가쿠마는, 기석의 스에히로, 메이지자리, 댄스 홀, 영화관, 미즈텐구, 요정 등에서 활기차고, 대승헌쇼와 40년~50년대에는 지점 3점, 노렌 나누어 17점까지 확충해 갔다고 합니다.현재도 4건이 현역으로 영업하고 있습니다(니혼바시 혼초점, 니혼바시 요코야마초점, 아사쿠사바시점, 신카와점)
![S50년대_미쓰코시 이벤트.jpg](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2018/12/13/S50%E5%B9%B4%E4%BB%A3_%E4%B8%89%E8%B6%8A%EF%BD%B2%EF%BE%8D%EF%BE%9E%EF%BE%9D%EF%BE%84.jpg)
▲쇼와 50년대 미쓰코시에서 행해진 이벤트의 모습.
요리의 주문은 인형 마을의 가게에서 만든 것을 미쓰코시까지 출전했다고 합니다.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왜 현재 본점인 인형초점은 업태를 바꾸어 커피 가게가 되었습니까?
엄마(와타나베 치에코 씨)는 남편을 빨리 잃고 30대에 미망인으로.점포와 거주지를 재건하게 되었을 때 가게를 닫는 것을 생각했습니다.건축에는 1년 반 정도 걸리고..., 임시 점포를 찾아내더라도 단기간의 차용이 된다..., 종업원은 어쩌자....여러 문제가 겹친 적도 있어, 5대째의 유타로 씨와 토론한 끝에 차라리 전업하자는 것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죽은 남편도 유타로 씨도 커피를 좋아했다.모자 둘이서 커피 교실에 다니며 공부하고 1988년 커피 가게로 업태를 변경해 오픈.가게명은 본점을 지켜 온 역대 점주를 위해, 그리고 느긋하게 허락되어 현재까지 전통을 지키고 영업하고 있는 각 가게를 위해서도 '대첩헌'이라는 이름은 남기기로 결정했다고 합니다.어머니는 말합니다.“헤세이 30년간 계속 이 커피 가게를 계속해 오신 것도, 대대로 「대첩헌」을 계승해 온 사람들과, 편하게 해 주신 손님 덕분에 감사하고 있습니다」.
![c 치에코 씨.jpg](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2018/12/13/c%E5%8D%83%E6%81%B5%E5%AD%90%E3%81%95%E3%82%93.jpg)
▲어머니(와타나베 치에코 씨)
귀중한 자료를 보여주면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지금의 「커피 대승헌」.접객은 해 90세가 되는 건강한 어머니(치에코씨)의 담당입니다.도쿄 올림픽까지는 열심히 하고 싶다고 말합니다.아니야, 아직 발 허리도 튼튼하고, 치아는 모두 자기 부담이라고 하는 엄마이기 때문에, 올림픽이라고 말하지 않고, 오사카 박람회라고 차의코 사이사이라고 생각합니다!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중화요리점의 역사나 점명만이 거론되고 있습니다만, 실은 이 가게, 더 전하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커피가 아주 맛있다는 것입니다.점주의 유타로 씨가 주문을 받고 나서 마음을 담아 페이퍼필터 드립으로 한 잔 커피를 끓입니다.
메뉴는 블렌드, 아메리칸 외에 레귤러의 스트레이트 커피 5종류(킬리만자로, 만델린, 과테말라, 모카마타리, 콜롬비아), 그리고 추천 콩 (현재는 에티오피아)그 밖에 우유, 홍차, 코코아, 주스류 등 음료만.
우선은 400엔의 블렌드를 추천합니다.블렌드를 마시면 그 가게의 실력을 알 수 있으니까.커피 컵 디자인도 멋집니다.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오픈될 때에 최초로 갖추어진 것은 등나무의 의자였다고 합니다.그것은 30 년 전부터 사용되고 있다는 것입니다.그리고 그 의자에 맞추어 테이블 등을 갖추고 갔다고 합니다.
![등나무의자와 스테인드글라스 .jpg](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2018/12/13/%E7%B1%90%E6%A4%85%E5%AD%90%E3%81%A8%EF%BD%BD%EF%BE%83%EF%BE%9D%EF%BE%84%EF%BE%9E%EF%BD%B8%EF%BE%9E%EF%BE%97%EF%BD%BD.jpg)
▲커피 가게 개점으로부터의 등나무의자(왼쪽)와
중화요리점 시절부터 가게를 지켜보고 있는 스테인드 글라스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대승헌씨에서는 「커피권」도 구입할 수 있습니다(11매 철자 4000엔)커피를 좋아하는 저에게는 매우 유익한 티켓이므로, 항상 이용하고 있습니다.
▲유익한 커피권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인형 마을에 오실 때는, 꼭 「커피 대승헌」에 들러 주세요.한 잔의 커피로 마음을 리프레시해 보면 어떻습니까?운이 좋으면 이 근처의 이야기와 대승헌의 역사를 들을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이번 두 분에게는 가게의 이야기 뿐만이 아니라, 중화요리점 시대에 단골이었던 유명인의 이야기나, 옛 이 근처의 이야기 등, 이야기를 묻고, 점점 인형 마을의 역사에 흥미가 생겨 왔습니다.그리고 인형 마을을 좋아하게 되었다.
그렇다 해도, 점내의 차분한 공기와 이 편안함은 어디에서 태어날까요?그것은 아마, 인형 마을이라는 장소뿐만 아니라, 「대승헌」이라고 하는 중화요리의 명점의 역사를 짊어져 온 와타나베 씨 모자의 각오의 삶에 있는 것은 아닐까요그런 것을 느끼게 해 준 이번 취재였습니다.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mt-static/plugins/InsertIcon/images/sign04.gif)
![IMG_2960.JPG](https://ko.tokuhain.chuo-kanko.or.jp/archive/2018/12/13/IMG_2960.JPG)
커피 다이쇼켄
도쿄도 주오구 니혼바시닌가타초 2-22-4
TEL:03-3668-8600
영업시간:11:00~15:00
정기휴일:도·일·축